면앙정가(俛仰亭歌) 현대어 풀이




<서사> : 제월봉의 위치와 면앙정의 형세


무등산 한 지맥이 동쪽으로 뻗어 이어 

멀리 떨치고 나와 제월봉이 되었거늘

끝없이 넓은 벌판에 무슨 생각 하느라고 

일곱 굽이가 한 곳에 움츠려 우뚝우뚝 벌여 놓은 듯하고

가운데 굽이는 구멍에 든 늙은 용이

선잠을 막 깨어 머리를 얹어놓은 듯하니

너럭바위 위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헤치고 

정자를 앉혔으니 

구름을 탄 푸른학이 천리를 가려고

두 날개를 펼쳤는 듯.


<본사1> : 면앙정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경치


옥천산, 용천산에서 흘러 내린 물이

정자 앞 넓은 들에 끊임없이 펴진 듯이

넓거든 길지나 말지, 프르거든 희지나 말지

두 용이 몸을 뒤트는 듯, 긴 비단을 펼쳤는 듯

어디로 가느라고 무슨 일이 바빠서 

달리는 듯, 따르는 듯, 밤낮으로 흐르는 듯

물 따라 펼쳐진 모래밭은 눈같이 펼쳐져있는데

어지럽게 나는 기러기는 무엇을 어르느라

앉았다가 날았다가 모였다고 흩어졌다가

갈대꽃을 사이에 두고 울면서 쫒아가느냐

넓은 길 밖이오, 긴 하늘아래

두르고 꽂은 것은 산인가 병풍인가

그림인가 아닌가

높은 듯 낮은 듯, 끊어지는 듯 이어지는 듯

숨거니 보이거니, 가거니 머물거니

어지러운 가운데 유명한 척하며

하늘도 두려워하지 않고 우뚝이 서 있는 것이

추월산이 머리를 이루고

용구산, 몽선산, 불대산, 어등산


용진산, 금성산이 허공에 늘어서 있거든


멀리 가까이에 있는 푸른 절벽에 머문 것도 많기도 많구나.


<본사 2> : 면앙정의 사계절


흰 구름, 뿌연 안개와 노을, 푸른 것은 산아지랑이구나

수많은 바위와 골짜기를 제 집으로 삼아 두고

나오면서 들어가면서 아양도 떠는구나.

오르기도하고 내리기도하며 공중으로 떠났다가

광야로 건너가니 푸르기도 붉기도 옅기도 짙기도하고

석양과 섞이어 가랑비조차 뿌리는가. 

남여를 재촉해서 타고 소나무 아래 굽은 길로

오며 가며 하는 때에

푸른버드나무에 우는 꾀꼬리

흥에 겨워 아양을 떠는구나.

나무와 억새풀이 우거져 녹음이 짙은 때에

높은 곳의 난간에서 긴 졸음을 내어 펴니 

물위의 시원한 바람이야 그칠 줄을 모르는구나.

된서리 걷힌 후에 산 빛이 비단이로다.

누런 구름은 또 어찌 넓은 들에 펄쳐있는고?

고기잡는 피리도 흥에 겨워 달을 따라 부르는가?

풀과 나무도 다 진 후에 강과 산이 묻혀있거늘

조물주가 야단스러워 얼음과 눈으로 꾸며내니

호화로운 궁전과 옥 같은 바다 은 같은 산이

눈 아래 펼쳐있구나.

하늘과 땅도 풍성하구나 가는 데마다 경이롭다.


<결사> : 자연 속의 풍류와 호연지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


속세를 떠나와도 내 몸이 한가로울 겨를이 없다.

이것도 보려하고 저것도 들으려하고

바람도 쐬려하고 달도 맞으려하고

밤은 언제 줍고 고기는 언제 낚고

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진 꽃은 누가 쓸 것인가?

아침이 바쁘거니 저녁이라 싫을소냐.

오늘이 부족하니

내일이라고 넉넉하랴.

이 산에 앉아 보고 저 산에 걸어 보니

번거로운 마음이지만 버릴 것이 전혀 없다.

쉴 사이 없는데 길이나 전할까.

다만 하나의 지팡이가 다 무디어 가는구나

술이 익었거니 벗이 없을 것인가.

부르며 타며 켜며 흔들며

온가지 소리로 취한 흥을 재촉하니

근심이라 있으며 시름이라 붙었으랴.

누웠다가 앉았다가 구부렸다가 젖혔다가

읊었다가 불었다가 마음 놓고 노니

천지도 넓고 넓으며 해와 달도 한가하다.

희황을 모르니 이 때야말로 그것이로구나

신선이 어떻든지 이 몸이야말로 그것이로구나.

강산풍월 거느리고

내 평생을 다 누리면

악양루 위의 이태백이 살아 온다 한들

넓고 끝없는 정다운 회포야 이보다 더할소냐.

이 몸이 이렇게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의 은혜로다.



​주제 : 자연 속의 풍류와 군은에 대한 감사




                   

지은이 : 송순(宋純 1493-1583) 호는 면앙정(俛仰亭), 기촌(企村). 조선 중종-선조 때의 문신. 치사(致仕)하고 담양(潭陽) 제월봉 아래에 석림정사(石林精舍)와 면앙정(俛仰亭)을 짓고 가곡을 지었다. 황진이와 함께 시가 문학의 정수를 계승하여 명작들을 남겼다.




                               

저서 : <기촌집(企村集)>과 <면앙집(俛仰集)>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면앙정가’가 있다.


    

갈래 : 서정 가사. 양반 가사. 은일 가사


    

연대 : 원작의 창작은 16세기. 필사본은 18세기 이후의 표기임


    

율격 : 3(4).4조 4음보


    

문체 : 운문체. 가사체


    

어조 : 풍류를 즐기는 호방한 어조


    

성격 : 강호가도(江湖歌道)의 노래


    

주제 : 대자연 속의 풍류 생활


                  

의의 : 강호가도를 확립한 노래. 정극인의 ‘상춘곡’을 이어받고, 정철의 ‘성산별곡’에 영향을 줌


                 

구성 : 146구로 되어 있으며, 기·승·전·결 79구의 4단 구성(서사, 본사, 결사의 3단 구성. 본사를 계절에 따라 네 문단으로 나누어 6단 구성으로 볼 수도 있음)



((첨부파일로 면앙정가 원문과 현대어 풀이 올려두었습니다.))


면앙정가 원문.hwp면앙정가 현대어 풀이.hwp


+ Recent posts